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극초단파 심부투열치료의 특징 1

안녕하세요

오늘은 극초단파 심부투열치료의 특징으로 주파수, 생리학적 효과, 극초단파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발생 장치

극초단파 자전관 ( magnetron )에서 발생하는데요.

자전관에서 발생한 극초단파 전류를 동축케이블을 통해 조사도자로 전달하며,

조사도자에 있는 안테나에서 전기에너지를 전자에너지로 변환한 다음 반사경에서 빔을 형성해 방출기를 통해 극초단파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주파수

극초단파는 단파와는 달리 매빌이 다른 경계면에서 반사가 많아 정상파를 일으킵니다.

정상파 (standing wave ) 는 입사파와 반사파가 간섭하여 음파이 진행이 멈추어 있는 파로,

조직의 온도가 상승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주파수가 높을수록 반사가 심하므로 2,450 MHz 의 유효깊이는 1cm 이고 , 915MHz 는 3cm 정도 이며,

지방과 근육과의 경계면에서의 반사는 심하게 나타나 주파수가 높으면 근육에 열이 전달되지 못하고 지방에서 온도 상승이 높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 2,450MHz (12.2cm ) : 일반적인 환자의 심부투열에 사용합니다.

* 915MHz ( 33cm ) : 비만 환자의 경우 지방과 근육의 경계면에서 반사가 심하게 나타나므로

지방의 온도가 올라가 열 집중이 일어나므로 주파수가 낮은 극초단파를 사용합니다.

* 433.92 MHz ( 69cm ) : 악성 종양의 열 치료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생리학적 효과

-극초단파 전자장 에너지는 조직에 흡수될 때 이온의 움직임,

쌍극자의 회전 그리고 전자 궤도 뒤틀림을 일으켜 조직을 가열시키는데

이때 발생되는 열의 양은 흡수된 복사의 양에 비례하게 됩니다.

 

-극초단파의 에너지 흡수패턴

: 지방에서 훨씬 낮고, 혈관 및 근육조직에서 높습니다.

즉, 수분 함유량이 많은 근육이 수분함유량이 적은 뼈나 지방보다 에너지 흡수가 높아 많은 가열이 나타납니다.

극초단파에 영향을 주는 요소

1. 주파수는 열 전환에 비례하고 침투 깊이는 반비례합니다.

2. 피하지방과 근육의 경계면에서 에너지 반사가 많습니다.

3. 물렁조직 ( 연부 조직 ) 두께가 얇으면 관절 가열이 많고, 두꺼우면 피부나 근육 가열이 많습니다.

4. 함수량이 작은 조직일 수록 투과가 쉽습니다. (함수량- 수분의 양)

5. 함수량이 큰 조직일 수록 열 전환이 쉽습니다.

6. 심부에서 혈류 증가량은 단파에 비하여 적습니다.

 

오늘은 극초단파 심부투열치료의 특징으로

주파수, 생리학적 효과, 극초단파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다음 시간에는 극초단파 심부투열치료의 적용원칙, 치료의 준비사항, 극초단파 심부 치료의 장단점, 효과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